본문 바로가기
건강 웰빙

냉방병 증상 발생원인과 예방 및 치료방법

by 헬씨언니 2023. 8. 9.

여름철 더위 먹었을 때와 반대로 실내에서 일하시는 분들은 감기와 같은 증상을 호소하는 것이 바로 여름철 냉방병 이라고 하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냉방병 발생 원인과 그에 따른 증상 및 예방 방법에 대해 알아보아요.

 

냉방병이란?

주로 냉방 시스템과 관련된 환경에서 일어나는 질병으로, 더운 여름철에 환기 안되는 밀폐된 공간에서 과도하게 냉방이 지속될 경우 발생돼요. 냉방병은 실제로 의학적인 질병명은 아니며, 일반적으로 냉방병 증상이라고도 불려요. 

 

 

냉방병 증상

  • 냉방병 증상 : 추위와 함께 손과 발에 절림, 두통, 얼굴 붉어짐, 손발의 부촉감 등이 나타날 수 있음
  • 감기 증상 : 냉방 환경에서 오래 머무르면 감기와 유사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음. 콧물, 재채기, 목 아픔 등
  • 관절 및 근육 통증 : 긴 시간 동안 추위에 노출되면 관절과 근육에 통증이 나타날 수 있음
  • 피부 문제 : 과도한 냉방은 피부 건조와 가려움증을 유발할 수 있음
  • 피로 및 피로감 : 냉방 환경에서 작업하거나 시간을 보내면 피로를 느끼기 쉬울 수 있음
 

 

냉방병 증상

 

냉방병 증상 발생원인

 

  • 체온 조절의 어려움
  • 수분손실
  • 면연력저하
  • 근육 긴장 및 피로
  • 혈액순환의 어려움
  • 피부 건조 및 자극
  • 환기 부족

 

냉방병은 주로 긴 시간 동안 과도한 냉방 환경에서 노출되거나 체온 균형을 유지하기 주로 체온 균형이 무너지는 환경에서 발생하게 돼요.

 

 

냉방병 치료방법

 

  • 체온 유지 : 따뜻한 옷을 입거나 담요로 몸을 감싸 따뜻하게 유지한다. 옷 벗고 입기를 반복하면서 체온을 조절한다.
  • 온도 조절 : 냉방 시스템이나 공기 조절기를 조절하여 실내 온도와 습도를 편안한 수준으로 유지한다.
  • 충분한 수분 섭취 : 냉방된 환경에서도 충분한 물을 마시고 수분을 보충하여 탈수를 방지한다.
  • 영양섭취 : 영양가 있는 음식을 섭취하여 체력을 유지하고 면역력을 강화한다.

 

이처럼 실내/외의 환경을 개선하면 감기가 호전되는 것처럼 냉방병의 증상도 대부분 좋아진다. 하지만 증상이 심하여 일상의 생활이 불편할 경우라면 각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는 약물 치료를 하는 것 이 중요해요.

ex) 두통, 콧물, 코막힘, 재채기, 소화불량, 설사

냉방병은 주로 치료방법보다는 예방하는 방법이 더 중요해요. 아래의 예방방법도 같이 알아봐요.

 

 

냉방병 예방 방법

 

  • 냉방 시 추위가 느낄 정도의 지나친 냉방은 피하며 사람이 적은 방향으로 에어컨의 송풍 방향을 맞춰요.
  • 에어컨 찬 공기가 몸에 직접 닿지 않도록 하며, 긴소매의 여분 옷을 준비한다.
  • 에어컨은 1시간 가동 시 30분 정도 정지하여 운행한다.
  • 적어도 2~3시간마다 5분 이상 창문을 열어 환기를 시킨다.
  • 외부에 자주 나가 바깥공기를 쏘인다.
  • 에어컨은 항상 청결된 상태를 유지하며, 에어컨 필터는 최소 2주에 한 번씩 청소한다.
  • 혈액 순환을 위해 맨손 체조나 가벼운 운동을 수시로 한다.
  • 찬 음식이나 찬물을 많이, 자주 먹지 않는다.
  • 잠잘 때는 배를 항상 따뜻하게 덮고 잔다.
  • 적절한 습도와 온도를 유지한다. (실내 적정 온도는 22~26℃)

 

냉방병은 우리의 몸이 허약할 때 잘 걸리게 되므로 여름철에도 꾸즌한 운동은 물론 규칙적인 생활로 몸의 건강을 잘 관리하는 것이 중요해요. 또한 식사 시간과 수면 시간은 가능한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어요.

 

냉방병 증상